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덤프버전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크레이지 파크
[ 시리즈 일람 ]
[ 등장인물 ]

주연
다오 · 배찌 · 디지니 · 마리드 · 우니 · 케피 · 모스 · 에띠
악역
로두마니 투탑
조연
산타 · · 후우 · 루시 모비 · 브로디 · 티이라 라비 · 두찌 · 레아 · 리리
ⓐ: 크레이지 아케이드 전용 |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전용 | ⓑ: 버블파이터 전용
등장인물 모아보기




파일: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로고 W.svg파일: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로고 B.svg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KARTRIDER: DRIFT
カートライダー ドリフト
跑跑卡丁車:飄移
||
파일:카드맆 시즌 5.jpg
개발니트로 스튜디오
유통넥슨
플랫폼PCWindows
콘솔Xbox One[1], PS4[2]
모바일Android, iOS, iPadOS
ESDPCSteam[3], Nexon
콘솔PS Store, MS Store
모바일Google Play, App Store
장르캐주얼 레이싱 게임
출시
[ 테스트 기록 ]
2019년 12월 6일 (1차 CBT)
2020년 6월 4일 (2차 CBT)
2021년 12월 9일 (3차 CBT)
2022년 9월 1일 (글로벌 테스트)
2023년 1월 12일 (프리시즌)[4]
2023년 3월 9일 (정규시즌)[5]
게임 엔진언리얼 엔진 4
전작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한국어 지원자막 지원
심의 등급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 전체 이용가 (폭력성)[6]
해외 등급ESRB E
관련 사이트
[ 펼치기 · 접기 ]
파일:세계 지도.svg 글로벌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1]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 파일:스팀 아이콘.svg[2] |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3] |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넥슨 커뮤니티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일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 파일:넥슨 커뮤니티 아이콘.svg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동남아시아 홈페이지.[2] 한국 등 Steam 서비스 미지원 국가에서는 접속할 수 없다.[3] 한국어 채널 존재.

1. 개요
3. 시스템 요구 사양
4. 특징
4.1. 전작과의 차이점
5. 트랙 및 카트바디
7. 게임 모드
7.1. 멀티플레이
7.2. 싱글플레이
7.2.1. 타임어택
7.2.3. 리플레이
12. 피트스탑
13. 콜라보레이션
15. 논란 및 사건 사고
15.1. 출시 전
15.2. 출시 후
16. 버그
17. 흥행
18. 기타
19.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파일:카트라이더: 드리프트.svg

시즌 5 트레일러

No Limits, All Drift!

already, ALL READY!


니트로 스튜디오에서 개발하고 넥슨에서 서비스하는 캐주얼 레이싱 게임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의 후속작.

2. 출시 전 정보[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출시 전 정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시스템 요구 사양[편집]


시스템 요구 사양
구분최소 사양권장 사양
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
운영체제Windows 10 64-bit
프로세서Intel Core i3 1세대
AMD FX-6000 시리즈
Intel Core i7 4세대
AMD RYZEN 5 1세대
메모리8GB
그래픽 카드NVIDIA GeForce GTX 760
AMD Radeon HD 7950
NVIDIA GeForce GTX 780 Ti[7]
AMD Radeon RX 5500 XT[8]
NVIDIA Reflex 기능에 GeForce GTX 900 이상의 그래픽 카드 필요
NVIDIA Reflex Boost 기능에 GeForce RTX 3000 이상의 그래픽 카드 필요
APIDirectX 11
저장 공간30GB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 화이트.svg파일:iOS 로고 화이트.svg
Android 8.0 이상
메모리 3GB 이상
iOS 12.2 이상
메모리 3GB 이상
||
파일:Xbox 로고 화이트.svg파일:PlayStation 로고 화이트.svg
Xbox One 출시
Xbox One X 대응
S 하위 호환 지원
PlayStation 4 출시
PlayStation 4 Pro 대응
PlayStation 5 하위 호환 지원
||

언리얼 엔진 4.27버전 기반이라 고사양일 것 같다는 선입견이 있지만 실제로 구동해 보면 최적화에 많은 신경을 썼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원작과 러쉬플러스가 사실상 모든 컴퓨터/스마트폰에서 구동이 가능했던 터라 사양에 따른 진입장벽 자체는 확실히 높아졌으며, 이에 원작을 플레이한 유저들 사이에서 내 컴퓨터는 이 정도의 사양을 감당할 수준이 아니라며 설치를 포기하는 경우도 간혹 생겨나고 있다. 2023년 기준 저사양에 속하는 인텔 코어 i 시리즈 2~4세대 CPU의 경우 내장 그래픽으로 실행이 불가능하며 GT 640M이나 GT 730급의 외장 그래픽이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그래도 일단 실행은 된다면 노트북이나 일체형 PC여도 옵션 타협 시 원활한 구동이 가능하다.

여러 테스트를 통해 최소사양 및 권장사양이 살짝 높아졌으며, 간혹 가다 일어나는 프레임 드랍도 설정을 적당히 조정해 주면 CPU 병목 현상을 겪지 않고 무난하게 프레임 방어가 가능하다. 다만 계정을 처음으로 만들었을 경우 물어보지도 않고 바로 최고사양으로 튜토리얼에 떨궈주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 문제점은 시즌 2에 와서야 튜토리얼 스킵 기능이 생기면서 해결됐다.

SSD에 설치하는 것을 권장한다. HDD에 설치하면 맵 진입 시 로딩이 느려 대부분은 출발 부스터(출부) 조차 못 사용할 정도로 렉이 걸릴 수 있다.

콘솔의 경우 특별한 문제 없이 원활히 구동되지만, PlayStation의 경우 뒤늦게 지원 대상이 되어 최적화가 덜 된 것인지 메인 메뉴 진입 시나 출발 부스터 발동 등 특정 상황에서 잔렉이 있다.

안드로이드의 경우 카러플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Android 8.0을 지원한다.

4. 특징[편집]


X019에서 최초 공개된 게임 플레이 영상
정식 서비스와는 사뭇 분위기가 다르고, 아직 출시되지 않은 카트바디도 일부 등장한다.
18년 7개월 동안 이어온 원작 카트라이더의 후속작이자 세대교체 역할도 겸하는 만큼 사소한 디테일부터 시작하여 기존의 단점들을 보강하고, 원작과 큰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조정을 거친 부분이 다수 보인다. 언리얼 엔진을 기반으로 원작에서 가능한 드리프트 기술을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을 만큼 물리엔진을 조정했으며, 이 과정에서 원작에서 유저들을 괴롭힌 버그들도 고쳐졌다. 기존 코드 없이 새 엔진으로 처음부터 만드는 게임이나 다름 없음에도 불구하고 카트 특유의 조작감은 비슷하게 잘 구현됐다.[9]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 커스터마이징을 꼽을 수 있는데, 고정된 페인트 색상 대신 자유롭게 팔레트에서 색상을 뽑아 적용할 수 있고, 카트바디에 데칼을 붙이거나 직접 데칼을 만들 수도 있는 리버리 시스템, 그리고 카트 업그레이드에 따라 페인트의 재질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됐다. 페인트 이외에도 카트의 바퀴, 부스터 이펙트, 번호판을 입맛대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기존 카트라이더의 유니폼 시스템은 각 캐릭터 별 코스튬으로 재해석됐으며,[10] 감정 표현 역시 상황에 따라 설정이 가능해 완주를 했음에도 우는 모습을 설정할 수 있는 등 자유도가 넓다.

그 외에 콘솔 서비스를 준비할 정도로 해외 서비스에 공을 많이 들여 대한민국 최초의 PC-콘솔-모바일 크로스 플랫폼 지원 게임이라는 의의가 있으며,[11] 3NO 전략[12]을 통해 과금 요소를 레이싱 패스와 상점에서 파는 치장 아이템으로 확 줄였으며, 레이싱 패스에서도 성능에 영향을 주는 아이템 없이 치장 요소와 게임 내 재화만 보상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작에서는 카트바디의 초기 성능 역시 아무런 격차 없이 평준화가 되어 있기에[13] 가볍게 즐기고자 한다면 현금을 소모하지 않고도 무난하게 즐길 수 있다.

원작이 장기간의 서비스를 거쳤던 만큼 즐길 수 있는 콘텐츠의 폭이 원작에 비해 좁다. 콘텐츠 소모 속도를 줄이기 위해서인지 CBT 등에서 완성이 확인된 콘텐츠들의 정식 출시를 의도적으로 늦추고 있으며, 시네마틱 영상에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구현되지 않은 콘텐츠들도 다수 존재한다.

4.1. 전작과의 차이점[편집]


시즌 5 기준.


5. 트랙 및 카트바디[편집]




5.1. 트랙[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트랙#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카트바디[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카트바디#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카트라이더: 드리프트 W.svg[[파일:카트라이더: 드리프트 B.svg카트라이더: 드리프트
카트바디 목록
||
[ 펼치기 · 접기 ]

기본 지급
프로토 · 연습 카트 · 해적 거북 · 코튼 · 버스트 · 솔리드 · 마라톤 · 세이버 · 뉴욕 머슬카 · 꽃마차 · 복돼지 · 삼바 · 노블 · 플레이 카트 · 넥슨 카트 · 에이블 카트 · 코멧 머슬 · 퀸텀 머슬 · 코스믹 머슬
상점
스톰 · 타이탄 · 에이스 · 브루터스 · 비밀 변기 · 드릴 · 뉴욕 택시 · 뉴욕 투어 버스 · 공부의 신 · 911 Turbo S Cabriolet · 플라즈마PT · 롤러 · 탐정 소파 · 어둠의 수호자 · 하운드 · 우유 배달 · 스쿠너 · 세이버 프로 · 플라즈마FT · BT21 캠핑버스 · BT21 드림카 · 세이프티 · 아이스크림 트럭 · 블랙 마크 · 페이라 · 샤크 호버 · 드링크 · 하마 · 파인애플 카트 · 이런 수박 · 개구리 · 스콜 윙 · 유령 호박 · 뱀파이어 · 백사 · 아이언 윌 · 마법 호박 · 무에르토 · 이클립스 베타 · 나이트 이글 · Pink Venom 슈퍼카 · 투 페이스 · 젠틀리 · 엔젤 · 데빌 · 메탈 로더 · 루돌프 · 코리스마튼 · 스위피
레이싱 패스
소방차 · 오로라 · 저스티스 · 인더스트 · 스마트 모빌리티 · Macan GTS · 나이트우퍼 · 굴착기 · 킬러 · 렉카 · 흑룡 · 플라밍고 · 마린 · GT60 · 솔라 · 블러드 · 박쥐 · 화이트 멜로우 · 이클립스 알파 · 마피아 · 닌자 · 빌런 · 몬스터
그랑프리
스팀 클래식 · 양산형 모빌리티 · 스카이로켓 · 와일드 더스트 · 볼트 · KDI 경찰 트럭 · 검은 늑대 · 전기톱 · 어릿광대 · 핫도그
이벤트
광산 수레 · 스파이크 · 슈가 레빗 · 솔리드 프로 · 718 Boxster · F724 · 레이싱 트럭 · 장수풍뎅이 · 스파이더 · 캐리어 · 왕문어 · 퓨리파이어 · 서커스 · 요술복치 · 그래피티 · 2023 KDL 빅토리 이글 · 골드문 · 인더스틸 · 레드 블렛 · 리타이어
※ 취소선 : 현재 획득이 불가능한 카트바디
※ ℗ : 플랫폼 전용 카트바디
※ Ⓒ : 제휴 및 콜라보레이션 카트바디





5.2.1. 풍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풍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캐릭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캐릭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게임 모드[편집]



7.1. 멀티플레이[편집]


기존 카트라이더와 동일하게 8인 플레이를 기본으로 아이템전, 스피드전 등 2가지 게임 모드를 솔로(개인전), 스쿼드(4:4 팀전)로 플레이할 수 있다. 커스텀 게임에서는 추가로 무한 부스터전2:2:2:2 듀오 모드를 플레이할 수 있다.[28]

전작과 달리 기본적으로 매치메이킹을 통해 멀티플레이가 진행되며, 게임 모드 및 팀 인원수, AI 레이서 등장 여부[29], 트랙 난이도,[30] 제외 트랙[31]를 선택해서 매칭을 돌릴 수 있다.

듀오 또는 스쿼드의 승리 조건의 경우, 아이템전[32]은 본인이나 팀원이 1등을 차지하면 승리하고,[33] 스피드전/무한 부스터전은 순위 점수[34] 합계가 가장 높은 팀이 승리한다.[35]

전작과 달리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에서는 완주 기록을 리그와 동일하게 소수 셋째 자리까지 표시하며, 다른 유저와 소수 셋째 자리까지 기록이 같을 경우 동시에 완주한 것으로 처리한다. 솔로 모드에서 본인과 다른 플레이어의 기록이 같아 공동 1등인 경우, 본인의 시점에서 본인이 1등 단상에 올라간다. 반대로 다른 플레이어 시점에서는 그 플레이어가 1등 단상에 올라간다. 아이템 스쿼드에서 팀원과 상대팀 플레이어가 기록이 같아 공동 1등인 경우, 하위 순위와 무관하게 빨강과 파랑 두 팀이 모두 승리한 것으로 처리된다.[36] 본인 및 팀원의 시점에서 본인의 팀이 승자 단상에 올라가며, 반대로 상대팀 플레이어 시점에서는 그 플레이어의 팀이 승자 단상에 올라간다.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에서는 리타이어돼도 10초 카운트다운이 끝난 시점의 순위를 기준으로 점수가 매겨졌지만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에서는 원작과 동일하게 0점 처리되는 방식을 채택했다.
순위 1st2nd3rd4th5th6th7th8thRetire
점수 1086543210

듀오는 빨강 팀, 노랑 팀, 초록 팀, 파랑 팀 4개 팀이 있고, 한 팀당 2명이다. 스쿼드는 빨강 팀파랑 팀 2개 팀이 있고, 한 팀당 4명이다. 전작에서는 '페인트/염색약' 종류의 아이템이 팀 색상에 맞게 적용되면서 머리 위에 색깔을 표시 했지만, 여기서는 머리 위에 색깔을 표시하기만 한다.

레이서 레벨 3 이상이고 AI 제외 레이서가 2명 이상인 게임 매칭 시 일정 확률로 조이의 깜짝 시험이 발생할 수 있는데, 레이스 중 등장하는 미션을 완수하면 추가 RP/루찌를 획득할 수 있다.

7.1.1. 그랑프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그랑프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2. 커스텀 게임[편집]


전작처럼 게임 방을 생성하여 플레이하는 모드. 개설할 때 발급되는 6자리 숫자로 구성된 커스텀 키를 입력하여 입장할 수 있고, 별도의 암호 설정은 불가능하다. 또한 전작과 달리 공개 방 목록은 지원되지 않는다.

아이템전, 스피드전, 무한 부스터전 등 3가지 게임 모드를 3가지 타입(솔로, 듀오, 스쿼드)으로 플레이할 수 있고, 트랙의 경우 직접 선택하거나 전체/스피드 랜덤을 선택할 수 있다.

플레이에 굳이 8명을 꽉 채우지 않아도 되며, 팀전은 팀의 인원수가 서로 맞지 않아도 진행 가능하다. 빈 슬롯을 AI로 채울 수도 있다. 또한 스쿼드 모드에서 혼자 플레이도 가능해 유사 타임 어택 팀전 부스터 모드를 할 수 있다.


7.1.3. 기간 한정 모드[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기간 한정 모드#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싱글플레이[편집]



7.2.1. 타임어택[편집]


혼자서 트랙을 연습하고 랩타임을 측정할 수 있는 모드. 개인전 부스터로만 플레이할 수 있으며, 랭킹 등록을 위해 루찌를 지불할 필요가 없어졌다.

트랙별 랭킹은 전체 랭킹, 내 플랫폼 랭킹, 내 지역 랭킹이 20위까지 공개되며, 시즌 종료 시 초기화된다.[37] 플랫폼 구분 없이 가장 높은 기록이 리더보드에 업로드된다.

로컬에 저장된 고스트[38]와 대전할 수도 있고, '랭커에게 도전' 기능을 이용해 각 리더보드의 상위 20위 랭커나 자신 주변 순위의 고스트와 대전할 수도 있다.

시즌 4 미드시즌부터는 위치 저장 및 되감기 기능을 통해 원하는 구간을 반복해서 연습할 수 있게 되었다.


7.2.2. 라이센스[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라이센스#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3. 리플레이[편집]


2023년 5월 11일, 시즌 2에서 도입된 기능. 설정에서 리플레이 저장 옵션을 켠 경우, 6분 미만의 랩타임을 기록하고 정상적으로 종료된 멀티플레이 게임[39]의 리플레이가 자동으로 녹화된다.

각각의 기기당 스피드전/아이템전 각각 최근 10경기가 저장되며, 최대 10경기까지 저장되는 서버 보관함에 리플레이를 업로드하면 다른 기기에서도 리플레이를 확인할 수 있다. 저장된 리플레이는 매 시즌 시작 시점에 보관함에 저장된 파일까지 포함해 전체 삭제된다.

8. 시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시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업적[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업적#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BGM[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BGM#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e스포츠[편집]



11.1.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피트스탑[편집]


개발자 블로그 영상.
캐릭터

테마와 트랙

개성 넘치는 카트들

리버리

글로벌 크로스 플랫폼 플레이


시즌 1: New World


시즌 2: World Kart Championship


시즌 3: Catch Me If You Can


시즌 4: Hallo-Drift

13. 콜라보레이션[편집]


업체기간비고
2023년
포르쉐3월 9일 ~ 5월 4일#
메이플스토리3월 23일[40]#
BT215월 11일 ~ 7월 13일#
BLACKPINK11월 30일 ~ 2024년 1월 25일#
2024년

14. 평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평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플랫폼메타스코어유저 평점


76




5.6




리뷰 부족




리뷰 부족




리뷰 부족



[41]


14.1. 문제점[편집]




15.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15.1. 출시 전[편집]








15.2. 출시 후[편집]




16. 버그[편집]



17. 흥행[편집]


플레이 스토어와 앱 스토어 인기 순위는 1위를 차지했으나, PC방 점유율 0.15%[49]와 스팀 동시 접속자 1000명대[50][51]에 머무르는 등 다소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월 22일, 비공정 기사단에게 밀려 플레이 스토어 인기랭킹 2위로 떨어졌다.

급기야 1월 26일 기준으로는 PC방 점유율 0.17%를 기록하여 31위로 동사의 크레이지 아케이드보다 아랫순위를 기록했고, 스팀 동접자 수도 1000명대 아래로 떨어지며 점점 위기를 겪고 있다.

1월 31일 기준으로 PC방 점유율 0.12%를 기록하며 V4보다 낮은 점유율을 기록하여 오픈빨을 전혀 받지 못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신고식 제대로 치르고 있다.

2월 6일에는 스팀 동시 접속자수가 최저 300명대까지 급락했으며 정식오픈이 되기 전까지는 회복이 어려울 듯 하다.

2월 27일 프리시즌 후반부에 접어들었지만 스팀 동시 접속자수 100명대, PC방 점유율 0.09%까지 하락했다.[52]

그래도 3월 9일 정규 시즌 시작 이후 카트 업그레이드 추가[53], 포르쉐, 메이플스토리 콜라보 등으로 긍정적인 반응들이 점차 늘고 있어[54] 향후 점유율 상승을 기대해 볼 만 하다.

조재윤 디렉터의 예상[55]과 달리 소폭 반등에 성공했으나 출시 초기에 받던 기대에 못미치는 상황을 보이고 있다. 3월 2주차 기준 스팀 동시 접속자수 500명대 미만에 주춤하고 있으며 PC방 점유율은 20위권 내로 반등하지 못하는 등 대내외적인 투자에 비해 이렇다 할 '오프닝'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3월 17일 기준 일본 App Store에서 무료 게임 1위를 차지했다.트윗[56]

3월 31일, 예정대로 카트라이더는 서비스 종료 수순을 밟았지만 그것이 드리프트의 점유율 상승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았다. 거기에 카트라이더: 드리프트는 원작인 카트라이더가 서비스 종료할 때까지 한 번도 원작의 점유율에 미치지 못한 건 덤.

플레이스테이션 공식 블로그에 따르면 유럽 F2P 부문에서 3월에는 10위, 4월에는 9위를 기록했다. 플레이스테이션 진영에 이렇다 할 아케이드 레이싱 게임이 없다는 것이 주효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5월 11일 시즌 2가 추가되면서 어느정도 개선이 이루어지면서 구글 플레이 스토어 레이싱 차트 부문 1위를 달성하고, 스팀 평균 동접자도 300명대로 진입하는 등 아직 갈길이 멀지만 약간 반등했다.

6월 8일 1달만에 업데이트를 진행하였으나 고작 밸런스패치한게 전부였고 이마저도 애매한 평가를 받으며 인기가 더욱 떨어지고있다.

11월 30일 서재우 디렉터의 첫 패치가 긍정적인 평을 받고 있어 스팀 최대 동접자수 200명대로 진입하며 반등했다. 그러나 얼마 안가 시즌4 보단 낫긴해도 다시 동접자 수가 적어졌는데 하필 포트나이트에 로켓 레이싱 모드가 카트라이더와 유사한 레이싱 게임이란게 드러나며 얼마 없는 해외 유저들은 모조리 포트나이트에 뺏기고 있어 앞날이 더욱 좋지않다.[57]

18. 기타[편집]




















19. 외부 링크[편집]



[1] Xbox One X 대응, 하위호환 지원[2] PS4 Pro 대응, PS5 하위호환 지원[3] 한국, 대만, 우크라이나, 러시아 등 일부 국가에서는 설치 및 실행이 차단되어있다. 이 국가들에는 넥슨 홈페이지와 런처를 통해서만 서비스되며, 스팀 상점 페이지는 지역락으로 인해 IP 우회로만 접속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한국과 대만 사이트에는 스팀 전용 카트 언급이 없다.[4] Windows / Android / iOS / iPadOS 출시. 정확한 출시 시각은 UTC 기준 1월 12일 새벽 2시로, 대한민국 표준시 기준으로는 1월 12일 오전 11시가 된다.[5] PS / XBOX 출시.[6] PC 등급분류번호:GC-CC-NP-191101-017 / XBOX 등급분류번호:GC-CC-NV-191101-006, 게임콘텐츠등급분류위원회의 결정 내용에 따르면 폭력성은 있으나 단순한 수준의 폭력성(아이템전에서 다양한 아이템으로 공격하여 주행을 방해)으로 판단되므로 전체이용가로 판정. 전작인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또한 같은 기관에서 심의를 받은 뒤 똑같은 판정을 받았는데, 그 판정이 후속작에도 유지된 것이다.[7] ≒ GTX 1060[8] ≒ RX 580[9] 빙판에서 달리는 듯한 느낌을 준다는 말도 있었으나 오히려 이 부분 덕에 특유의 무거운 느낌 없이 가볍기에 초보들이 적응하기 쉽다는 이야기도 있었다.[10] 캐릭터의 색을 바꾸는 염색약 기능은 삭제됐다.[11] PUBG: BATTLEGROUNDS는 콘솔에서만 크로스플레이를 지원한다.[12] NO P2W, NO 확률, NO 가챠를 표방하여 게임 경쟁에 현금과 무작위 요소가 전혀 개입되지 않는 것을 목표로 한다.[13] 카트바디의 물리적 형태로 인한 유불리가 존재하긴 하지만, 상위권 플레이어가 아니면 크게 거슬리는 요소는 아니다.[14] Steam에서도 콘솔과 마찬가지로 넥슨 계정 연동 없이 게스트 계정으로도 플레이할 수 있다.#[15] 만약 현 거주 국가와 다른 계정으로 로그인해야할 시, 최초 설치의 "업데이트 처리 중" 과정에서 VPN으로 국가를 바꿔주면 된다.[16] 크로스 플레이 해제는 콘솔에서만 지원한다.#[17] 레이서명의 경우 PC/모바일에서는 넥슨 계정에 등록된 레이서명이 표시되지만, 콘솔에서는 넥슨 계정 연동과 관계없이 정책상 콘솔 닉네임이 모든 플랫폼에서 레이서명으로 표시된다.[18] 발동 즉시 가속하는 싱글 부스터, 100km/h 이상에서 변신 및 부스터 게이지 자동 충전, 드래프트 시스템, BGP 시스템 등이 적용됐으며, 이후 엔진의 듀얼 부스터, 익시드 등의 요소는 도입되지 않았다.[19] 단, 출시 전 테스트 시기에는 전설 등급까지 5단계로 구성됐다. 그리고 2024년 중 카트바디별 성능 차별화가 도입될 예정이다.[20] 정확한 타이밍 및 그 전/후.[21] 물론 PC에서도 새로운 뉴커팅 커맨드를 사용할 수 있고, 반대로 콘솔/모바일에서 양쪽 방향키를 동시에 누를 수 있도록 설정한 경우 콘솔/모바일에서도 기존 뉴커팅 커맨드를 사용할 수 있다.[22] 기존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에서 사용하던 뉴커팅 커맨드는 물리 엔진 버그로 인해 간헐적으로 드리프트가 안 끊기고 질질 끌리는 버그가 있어 새로운 커맨드 방식으로 안내하는 듯하다.[23] 다만 플랫폼 특전 카트를 비롯한 일부 카트는 리버리 적용이 불가능하다.[24] 단, 리그에서는 다오, 디지니, 배찌 한정으로 라이더 컬러에 맞는 염색약 코스튬이 제공된다.[25] 사실 원작에서도 배틀/챔스 필살기 슬롯 2개나 출발부스터 강화처럼 거의 모든 아이템 카트에 탑재된 기능이라 아예 시스템으로 편입시켰다 해도 무방할 정도.[26] 완전히 포물선인건 아니고 일정거리 날아가면 수직으로 꺾여서 떨어진다. 그래서 이전과 마찬가지로 바로 머리위에서 떨어지고 있는건 피하기가 힘들다.[27] 시즌 4에서 정식 도입되었다.[28] 시즌 4까지는 이들도 정규 모드에 포함되어 있었으나, 시즌 5에서 매치메이킹 옵션 단순화를 위해 커스텀 게임 전용으로 변경되었다.[29] 레이서 매칭을 선택하더라도 매칭 대기 시간이 길어지면 안내와 함께 AI가 함께 매칭될 수 있으며, AI 전용 매칭을 선택할 경우 추가 플레이어 매칭 없이 게임이 즉시 시작된다. 20레벨이 넘거나 3연승을 한 경우 매칭 옵션이 자동으로 레이서 전용으로 변경된다.[30] 아이템전은 1/2/3, 스피드전 및 무한 부스터전은 1~2/3/4~5 단위로 설정할 수 있고, 스피드 트랙만 등장하게 설정할 수는 없다.[31] 아이템전/스피드전/무한 부스터전 개별로 최대 3개까지 지정할 수 있다.[32] 크로스오버전 포함.[33] 듀오는 각 팀원의 최고 순위를 기준으로 비교하여 팀의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34] 듀오와 스쿼드 모두 동일한 순위 점수표를 적용한다. 하단의 점수표 참고.[35] 만약 두 팀 이상이 점수가 동일한 경우, 각 팀원의 최고 순위를 기준으로 비교하여 팀의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36] 즉, 공동 1등으로 처리되어 승부를 가릴 수 없다고 해서 그 다음 순위인 3등을 승패의 기준으로 삼지는 않는다.[37] 이 때 개인 시즌 타임어택 기록도 초기화된다.[38] 해당 기기에서의 최고기록이 자동으로 저장된다. 테스트 기간 중 플레이한 타임어택 고스트도 확인할 수 있다.[39] 모드 연구소 등 기간 한정 이벤트 모드 제외. 타임어택도 녹화되지 않지만, 커스텀 게임을 혼자 플레이하여 녹화할 수 있다.[40] 콜라보레이션 캐릭터 상시 판매.[41] 한국에서는 스팀을 통한 접근이 불가능하여, VPN을 사용하거나 또는 웹의 경우 링크로 접근 가능하다.[42] 947.1030405 빌드[43] 이전에도 전작이 유입이 안되긴했다.[44] 무엇보다 환경설정에서 회선 품질을 최적으로 바꿔서 핑이 심한 서버로 매칭 자체가 안 되면 모를까, 최적으로 바꿔도 핑이 심한 서버로 매칭되는것이 여전하니 설정 자체가 의미가 없다.[45] 물론 지속적인 핑 개선을 약속하긴 했으나, 앞서 말한 회선 관련 발언은 문제라고 보는 시각이 대부분이다.[46] 웨일스어에서 사용되는 문자이다.[47] 임시점검 혹은 긴급점검[48] 일부 외장그래픽도 튕기는 버그가 있는듯 하다.[49] 26위인 테일즈런너보다 아래에 있는것은 물론, 서비스 종료 예정인 원작보다 순위가 낮다.[50] 1월 25일 기준[51] 물론 멀티플랫폼을 감안해야 하긴 하나, 그걸 감안해도 너무나도 아쉬운 수치다. 오픈빨을 감안하면 원작 카트1의 동접자(대략 500)에 비해 그렇게까지 많은 것도 아니다.[52] 이는 PC방 프리미엄 서비스가 개시되지 않은 탓에 사람들이 게임에 관심을 보이지 않아 나타난 수치로 추정된다.[53] 인터넷 방송 등지에서도 이 시스템을 진작 출시했어야 했다며 좋은 평가를 내리고 있다.[54] 실제 공식 유튜브 댓글을 보면, 전작 서비스종료 문제와 미숙한 운영 등으로 시끄러웠던 2월 즈음에 올라온 영상의 경우 대부분의 유저들이 걱정섞인 비난을 남겼다. 그러나 컨텐츠가 늘어난 3월 정규 시즌 시작 이후에는 없지는 않지만 그런 모습이 많이 줄었다.[55] 드리프트 관련 업데이트 예고 中 "오픈빨은 정규시즌이 될 것"[56] 해당 트위터는 넥슨 재팬의 공식 계정이다.[57] 양 게임의 동접자수는 하늘과 땅차이로 동접자 수가 최대 100만명까지 올라가는 로켓 레이싱에 비하면 카드립은 서버를 유지하는게 신기할 정도로 유저수가 처참하다.[58] 재탄생을 의미하는 'REBIRTH'가 아니라 'REVERSE'로,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연상케 하는 이름이다.[59] 또한 타이틀의 '크레이지레이싱'도 빠졌는데, 해외 서비스에서 '크레이지레이싱' 타이틀이 빠졌던 것, 그리고 한국에서도 대부분 '크레이지레이싱'을 빼고 불렀던 것을 생각하면 자연스러운 변화로도 볼 수 있다.[60] 발매일을 S 발매 시기에 맞춰야 하고, Xbox에서 콘솔 선행 독점 출시가 조건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61] 가져온 요소를 살펴보자면, 과장된 속도감 (화면특수효과)요소의 일부, 부스터 스킨(기존 레이시티 세트효과), 차량 튐 현상, 커스텀 페인팅 및 데칼 등이며, 소위 "갓겜" 현상이 있을적 차량과 겹치는 충돌 물리효과는 레이시티에서 그대로 있었는데 이는 레이시티의 물리엔진과 카트라이더의 물리엔진을 병합하다보니 생긴 일인 듯 하다.[62] 1차 테스트 중에는 충돌 효과음도 있었다.[63] 효정, 유아, 지호가 참여.[64] 즉, PC & 동시입력 4키 이상되는 키보드여야지만 되는 방식. 콘솔이나 모바일에서도 왼쪽과 오른쪽 키를 모두 누를 수 있도록 조작 방식을 바꾸면 기존 커맨드를 사용할 수 있다.[65] 입력 장치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 R키만 작동한다.[66] 여담으로, 홈페이지 메인 화면에 걸린 이미지에서 주르르, 릴파, 비챤이 구형 아바타로 나왔는데, 새로 만든 오리지널 아바타가 있긴 하나 하필 신규 프로필 사진을 찍어두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이로 인해 이후 멤버들이 프로필 사진을 새로 찍게 됐다.





관련 문서